티스토리 뷰
Wineskin Winery 를 잘 사용중이었는데 Big sur 가 업데이트 된 뒤 32bit 바이너리인 wine 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.
그래서 OS 까지 띄워야 하는 VirtualBox 를 사용 중이었는데,
m1 맥북에서 VirtualBox 는 사용하지 못할 것으로 보여, wine 에 대한 새로운 소식이 없는지 찾아보았습니다.
https://www.reddit.com/r/winehq/comments/j43ziq/wine_on_macos_catalina_and_macos_big_sur/
이글이 검색되서 가능할 것이라는 힌트를 얻었는데 Wineskin 은 프로젝트가 업데이트가 안되고 있었고
https://github.com/Gcenx/WineskinServer 를 설치해보니 잘 실행되었습니다.
현재는 인텔맥을 사용하고 있고 테스트도 인텔맥에서 해보았습니다.
어디선가 로제타가 사용되어 m1 에서도 가능하다는 글을 본 것 같은데 확실하지는 않습니다.
아래와 같이 homebrew 를 사용해 설치하면
brew tap gcenx/wine
brew install --no-quarantine unofficial-wineskin
익숙한 wineskin winery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
선택할 수 있는 엔진 중에 64Bit 가 붙어있는 것을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고
한글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winetricks 를 사용해서
fonts/baekmuk, fonts/cjkfonts, fonts/fakekorean 정도 설치하고
실행 시 Custom Commands 항목에 아래 export 를 추가해야 합니다.
export LANG=ko_kr.utf-8
2022.08.02 업데이트
2021 m1 max 에서 설치 잘됨.
# Installed Engines
WS11WineCX64Bit21.2.0
# Wrapper Version
Wineskine-2.9.1.1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GMT
- IcedTea6
- 모토로이
- subervsion
- tsclient
- Arrays
- 다음팟인코더
- PostgreSQL
- gl2
- Fedora 8
- Numbering
- output driver
- pl/java
- SimpleDateFormat
- openoffice
- Fedora 9
- Eclipse
- Java
- OpenJDK6
- 병합정렬
- 출력드라이버
- 파란 화면을 보았니
- Linux
- 리눅스
- JavaMail
- userguide
- OO3
- smplayer
- yum update
- xml2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